1989년 설립된 코웨이는 고객 생활환경 전반을 케어하는 라이프케어 기업입니다. 코웨이는 제품 렌탈과 전문서비스를 결합한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제품 구입 비용 부담 없는 환경 가전 렌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문 파트너의 정기적인 케어 서비스를 통해 제품의 가치를 오래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였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코웨이는 국내외 908만 계정의 고객을 확보하였고,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창출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코웨이는 핵심 역량인 ‘케어(Care)’의 가치를 확장하여 ‘워터케어’, ‘에어케어’, ‘바디케어’, ‘슬립케어’, ‘리빙케어’ 등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모든 고객이 물과 공기, 수면에 있어 안심하고 생활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또한 IT 기술을 접목한 고객 맞춤형 솔루션 ‘IoCare (Internet of Care)’를 개발하여 제품 및 서비스 본연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렌탈 제품군의 지속적인 개발과 글로벌 시장 확대 등을 통해 꾸준히 고객층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코웨이는 이러한 차별화된 혁신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가치창출과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배분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코웨이의 제품과 브랜드는 고객이 언제 어디서나 안심하고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고객 신뢰와 제품 혁신을 기반으로 한 라이프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자재 및 부품 공급부터 제품 생산, 판매, 폐기 및 재활용에 이르는 전 과정을 지속가능경영 관점으로 바라보며 경제/사회/환경적 가치를 투입(INPUT)하여 건강한 환경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창출(OUTPUT)하고 있습니다.
구분 | 단위 | 2021 | ||
금융자본 Financial Capital | Input | 자본총계 | 억 원 | 19,044 |
자산총계 | 38,006 | |||
Output | 매출액 | 억 원 | 36,643 | |
영업이익 | 6,402 | |||
생산자본 Manufactured Capital | Input | 생산설비 투자액 | 억 원 | 1,159.9 |
주요상품 및 원재료 구입비 | 5,144 | |||
Output | 제품생산량1) | 천 대 | 30,117 | |
평균가동률2) | % | 81.7 | ||
인적자본 Human Capital | Input | 총 교육훈련 비용 | 억 원 | 3.9 |
임직원 총 교육시간3) | 시간 | 93,760 | ||
Output | 인당 생산성4) | 백만 원/명 | 562 | |
지식자본 Intellectual Capital | Input | 연구개발비 | 백만 원 | 48,337 |
연구개발 인력 | 명 | 439 | ||
Output | 지적재산권 - 특허 | 건 | 1,946 | |
지적재산권 - 실용신안권 | 33 | |||
지적재산권 - 상표 | 3,601 | |||
지적재산권 - 디자인 | 946 | |||
사회적자본 Social Capital | Input | 협력사 상생펀드 운영 | 백만 원 | 15,020 |
협력사 기술지원 컨설팅 | 103 | |||
사회공헌 총 투입 비용 | 억 원 | 11.4 | ||
Output | 협력사 매출 확대5) | 백만 원 | 715 | |
협력사 기술보호 및 임치 | 건 | 7 | ||
말레이시아 사회공헌 수혜 | 가구 | 3,600 | ||
환경자본 Natural Capital | Input | 환경 투자비용6) | 백만 원 | 1,056 |
총 자재 사용량 | 톤 | 14,488 | ||
총 에너지 사용량 | GJ | 137,423 | ||
Output | 온실가스 배출량 원단위 | tCO₂e/매출액(억 원) | 0.238 | |
폐기물 재활용량 | 톤 | 22,461 |
코웨이는 2021년에도 지속적인 매출 성장세를 기록하여 전년(3조 2,374억 원) 대비 13.2% 증가한 3조 6,643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영업이익은 6,402억 원, 당기순이익은 4,655억 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5.6%, 15.0% 증가했습니다. 2021년 총 고객 계정 수는 전년 대비 81만 계정이 늘어난 908만(국내 650만, 해외 258만) 계정으로 집계되었습니다.
한편, 코로나 19의 여파에도 불구하고 국내외 환경가전 부문의 매출액은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국내 환경가전 부문의 매출액은 전년(2조 1,273억 원) 대비 5.5% 증가한 2조 2,453억 원으로 역대 최대 매출액을 달성했으며, 해외법인 연간 매출액 역시 신제품 출시를 통한 판매 확대로 전년(8,961억 원) 대비 35.6% 증가한 1조 2,151억 원을 달성하였습니다. 특히 미국과 말레이시아에서 독보적인 성장세를 보여, 말레이시아 법인 매출은 전년 대비 38.3% 증가한 9,802억 원으로 집계되었으며, 미국 법인 매출은 전년 대비 11.3% 증가한 1,696억 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였습니다.
코웨이는 2021년 연결기준 3조 6,643억 원의 매출액과 기타수익 및 금융수익을 합해 총 3조 7,608억 원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였습니다. 코웨이는 창출된 가치 중 3조 5,291억 원을 기업의 미래가치와 투자 효율성 향상을 위해 이해관계자에게 합리적으로 배분하였습니다. 또한 유보된 4,144억 원의 경제적 가치를 자본 총계로 가산하였습니다.
코웨이는 합리적 조세 전략을 바탕으로 세무 신고 및 납부 의무를 성실히 이행하고 있습니다. 코웨이의 조세 정보는 금융감독원 공시 시스템(http://dart.fss.or.kr/) 내 정기 공시를 통해 투명하게 공개되고 있습니다. 감사보고서상 재무제표 및 주석사항에서는 법인세비용 산출 기준, 이연법인세 자산 및 부채, 법인세비용 구성내역 및 세율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외부감사를 통해 그 투명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법인이 가지는 납세의무를 성실히 이행하며 정부의 세수 및 공공 서비스 증대 등 선순환 구조 창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코웨이는 조세 관련 규정 및 세제정책 등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조세 관련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파악·관리하고 있습니다. 리스크 관리는 이사회에서 승인한 정책에 따라 자금부서에서 진행됩니다. 자금부서는 연결기업의 현업부서들과 긴밀히 협력하여 재무위험을 식별, 평가 및 상쇄하고 있습니다. 이사회는 외환위험, 이자율위험, 신용위험, 파생금융상품과 비파생금융상품의 이용 및 유동성을 초과하는 투자 등 특정 분야에 관한 문서화된 정책뿐 아니라, 전반적인 리스크 관리를 위한 문서화된 정책을 제공합니다. 한편 최근 국세청이 국제거래와 관련한 조세의 성실신고를 장려함에 따라 코웨이는 이러한 세제정책에 맞춰 조세 정보를 보고하고 있습니다. 특히, 조세 회피의 목적으로 조세피난처를 이용한 역외탈세나 국제거래 이용탈세를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습니다. 코웨이는 말레이시아, 미국 등에 지점 또는 현지법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해외법인과의 국제 거래 시 해당국 세법 및 OECD 이전가격 가이드라인을 준수하고 현지법을 기준으로 성실하게 납세 의무를 다하고 있습니다.
(단위: 천 원)
구분 | 주요 비즈니스 활동 | 총 매출액1) | 세전 이익 | 부과 법인세 | 납부 법인세 |
한국 |
| 2,932,461,499 | 658,552,414 | 175,927,650 | 193,066,319 |
아시아2) | 1,045,434,024 | 156,111,970 | 49,201,444 | 49,201,444 | |
미주3) | 169,631,441 | 7,820,353 | 2,788,414 | 2,788,414 |
구분 | 단위 | 2019 | 2020 | 2021 |
법인세 비용 차감 전 순이익 | 천 원 | 451,418,558 | 540,379,082 | 658,552,414 |
법인세 부담액1) | 113,778,104 | 138,242,247 | 175,927,650 | |
세액공제 | -182,651 | -4,474 | -35,122 | |
영구적 차이 등 | 6,146,218 | -3,187,694 | 2,348,730 | |
일시적 차이 중 이연법인세2) 미인식 | 1,869,336 | 7,707,974 | 7,793,800 | |
실현가능성 판단의 변경효과 | - | - | - | |
법인세 추납액(환급액) 등 | 627,398 | -7,928,719 | 261,770 | |
기타 | -3,027,522 | 838,888 | 6,769,491 | |
법인세 비용3) | 119,210,883 | 135,668,222 | 193,066,319 | |
명목세율4) | % | 25.20 | 25.58 | 26.71 |
유효세율5) | 26.41 | 25.11 | 29.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