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순환과 자연보호

자원
자원효율성 KPI

코웨이는 전 사업 영역에서 정량적인 폐기물 발생량 관리를 통해 재활용률 증진, 폐기물 제로(zero)화, 생산비용 최소화 등의 지속적인 노력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특히 사업장 및 서비스 폐기물에 대해서는 99% 이상 폐기물 재자원화(SRF, Solid Refuse Fuel) 처리를 통해 폐기물 제로(zero)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재활용 소재 제품 개발로 자원 사용량 저감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자원효율성 제고와 폐기물 제로화를 위해 친환경 경영전략을 추진하며 순환경제 측면에서의 환경영향 저감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자원순환 사이클

코웨이는 자원순환경제 실현을 위해 개발·구매부터 회수·재활용에 이르기까지 제품의 전 단계에서 환경적 요소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기업 활동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전사 차원의 친환경 경영을 강화해 나갈 예정입니다.

자원 절감 노력

코웨이는 신제품 개발 시 제품당 재활용률이 75% 이상을 만족하는지 점검하고 있습니다. 만일 75% 이하로 산정되는 경우에는 재활용 가능 소재로 변경하거나 공정에서의 추가적인 재활용 가능 여부를 면밀히 검토하며 제품군 별 재활용률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2021년에는 비데 제품군에 한해 재활용 레진을 플라스틱 중량 대비 5% 수준으로 시범 적용하였습니다. 2022년에는 제품군의 적용 범위를 확대하여 청정기에 대해서도 재생 레진을 적용할 계획입니다.

자재사용량
구분단위2018201920202021
비재생 원료플라스틱(필터, 5대 제품군)1)10,10010,9479,9828,974
메탈2)4,5374,4194,1593,622
포장재3)2,1312,3041,9591,892
재생원료0000
합계4)16,76817,67016,10014,488
  1. 필터: 정수기 및 비데 필터, 5대 제품군: 정수기, 공기청정기, 비데, 연수기, 음식물 처리기 (국내 기준)
  2. 일부 모델에 메탈/플라스틱 이론치 중량 적용
  3. 종이박스, 포장비닐/포장필름, EPS(완충재)
  4. 제품 소형화 및 해외판매 주력으로 자재 투입량 감소
플라스틱 자재 사용에 의한 온실가스 환산량
구분단위2018201920202021
플라스틱 사용량10,10010,9479,9828,974
온실가스 환산tCO₂e21,81923,64821,56419,386

* 제품 플라스틱 사용량은 당해연도 제품 출고량 기준(환경부), 환산량은 간접 온실가스 발생 예측량을 의미함
* 환경부 환경성적표지 평가계수와 폐기물 통계자료 활용

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에 의한 온실가스 저감 환산량
구분단위2018201920202021
재활용량5,9966,5036,2435,480
온실가스 환산tCO₂e12,95314,04813,48611,838

* 환경부 환경성적표지 평가계수(탄소발자국) _ 2021.08.02
* 폐기물 통계자료(한국환경산업기술원 공고 제2017-60호), 생활폐기물(종량제에 의한 혼합배출)


폐기물 및 재활용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프로세스

오늘날 자가관리형 제품 판매가 증가하고 있는데, 코웨이는 이 과정에서 발생한 폐필터를 수거하여 재활용하는 ‘정수기 사용 후 필터 회수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향후 코웨이는 해당 서비스를 자가관리 정수기 필터에 한정하지 않고, 자가관리 청정기, 비데 필터 등으로 확대 적용하여 순환경제에 기여할 예정입니다.

유형별 폐기물 발생량 및 재활용률
구분단위2018201920202021
제품소각0000
매립0000
재활용13,86613,60913,20413,400
소계13,86613,60913,20413,400
서비스소각0000
매립0000
재활용8,8239,1249,1919,359
소계8,8239,1249,1919,359
사업장
(제조공장)
일반폐기물소각157217231226
매립0000
재활용694753825702
소계8519701,056928
지정폐기물소각0000
매립0000
재활용0000
소계0000
폐기물 발생량 총계23,54023,70323,45023,687
- 매립 폐기물0000
- 에너지 회수(Energy Recovery)로 소각된 폐기물5,0325,0035,2805,159
- 에너지 회수 없이 소각된 폐기물157217231226
- 기타 방식으로 처리된 폐기물18,35018,48317,93918,303
- 처리 방법을 표기할 수 없는 폐기물0000
폐기물 재활용량23,38323,48623,21923,461
폐기물 재활용률%99.399.199.099.0

* 환경가전기준의 폐기물 발생량 (화장품 제외, 2021년부터 매트리스 포함)
* 2016년부터 서비스 폐기물은 전량 고형연료 제품으로 재활용하며, 사업장폐기물은 일부만 제외하고 고형연료 제품화하여 폐기물 발생량 중 99% 이상 재활용 진행
* 2018년 포천공장 재활용업 반납으로 인해 사업장 폐기물 감소 및 재활용사 제품 재활용 실적을 코웨이 재활용 실적으로 집계
* 재활용률: (제품, 서비스, 사업장 재활용량) / (제품, 서비스, 사업장 발생량) * 100
* '에너지 회수로 소각된 폐기물'은 폐기물 재활용량에 해당, 이 외에 '매립 폐기물', '에너지 회수 없이 소각된 폐기물', '처리 방법을 표기할 수 없는 폐기물'은 폐기물 발생량에 해당


생태계 보호를 위한 활동
Case교실숲 조성사업을 통한 생물다양성 인식 확산

교실숲 조성사업은 교내 반려식물을 키우며 생물다양성을 연구하고 탄소중립과 기후변화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는 코웨이의 새로운 사회공헌 활동입니다. 학생들이 멸종 위기종과 자생종에 대해 이해하고 생물다양성 보존의 중요성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환경 교육을 제공하며, 실제로 반려식물을 키우면서 환경의 중요성을 인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식물이 저감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저감량과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해 학습하면서 미래세대가 기후변화에 조금 더 관심을 가지고 다가오는 세대를 맞이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