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웨이의 2021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Scope 1+2 기준 6,699톤 CO₂e 규모로, 자사 제조 사업장의 전체 에너지 사용량 중 90%가 전력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코웨이는 제조사업장에 소규모 태양광 발전 시설 및 고효율 설비(ESS, 에너지 저장 장치)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코웨이는 2020년 대비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 50% 감축과 2050 탄소중립 실현이라는 중장기 목표를 기반으로 효과성이 검증된 태양광 발전의 지속 투자 및 배출권 구매를 통해 저탄소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구분 | 단위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1 목표 | 2030 목표 | |
직접 | LPG | GJ | 84 | 41 | 0 | 0 | 0 | - | - |
휘발유 | 2,423 | 2,533 | 2,587 | 2,109 | 1,892 | - | - | ||
경유 | 2,458 | 2,540 | 2,773 | 2,726 | 2,822 | - | - | ||
LNG | 323 | 554 | 201 | 184 | 4,165 | - | - | ||
등유 | 432 | 225 | 338 | 148 | 144 | - | - | ||
프로판 | 5,294 | 5,908 | 5,163 | 5,398 | 6,748 | - | - | ||
직접 Total | 11,014 | 11,801 | 11,062 | 10,565 | 15,770 | - | - | ||
간접 | 전력 | 106,275 | 110,142 | 107,564 | 105,702 | 121,653 | - | - | |
간접 Total | 106,275 | 110,142 | 107,564 | 105,702 | 121,653 | - | - | ||
총 에너지 사용량 | GJ | 117,290 | 121,943 | 118,627 | 116,267 | 137,423 | - | 64,020 | |
총 에너지 원단위 사용량 | GJ/매출액 (억 원) | 5.055 | 5.091 | 4.687 | 4.485 | 4.883 | - | 1.479 | |
총 신재생에너지 사용량 | MWh | - | 237 | 237 | 227 | 224 | - | - | |
총 재생 불가능 에너지 사용량 | - | 11,473 | 11,205 | 11,011 | 12,672 | 11,933 | - |
* 직접 에너지 사용량은 '고정연소 및 이동연소에 따른 직접배출(Scope1) + 종업원 통근(Scope3)'으로 산출
* 사업장 내에서 온실가스 직접 감축이 어려운 관계로 신재생에너지 시설 투자 또는 배출권 구매 등을 통한 상쇄
코웨이는 2013년 포천공장에 태양광 발전 시범 도입을 시작으로 신재생에너지를 지속적으로 도입해 왔습니다. 코웨이는 2021년 기준 유구공장(49.5kWh 규모), 인천공장(39kWh 규모), 포천공장(45kWh 규모) 및 물류센터(48.8kWh 규모)에 태양광 발전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세 곳의 공장 및 물류센터에서는 2021년 약 224kWh의 전력을 자체적으로 생산하고 소비하였습니다. 이는 온실가스 배출량 약 104.4톤을 저감한 효과입니다. 유구공장에 도입된 에너지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는 Peak 부하를 감소시키고, 에너지 사용량 분산에 기여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연평균 약 1.27억 원의 비용을 절감하였습니다.
구분 | 단위 | 포천공장 | 유구공장 | 인천공장 | 물류센터 | 합계 |
발전 용량 | kW | 45 | 49.5 | 39 | 48.8 | 182.3 |
가동 일시 | - | 2013년 8월 | 2014년 9월 | 2015년 7월 | 2017년 6월 | - |
누적 발전량 | kWh/연 | 472,550 | 418,906 | 336,935 | 302,495 | 1,530,885 |
누적 온실가스 감축량 | tCO₂e | 220.4 | 195.3 | 157.1 | 141.1 | 714 |
발전 효율(평균) | % | 99 | 93 | 105 | 107 | |
2021년 발전량 | kWh/연 | 54,601 | 56,155 | 48,667 | 64,520 | 223,942 |
2021년 온실가스 감축량 | tCO₂e | 25.5 | 26.2 | 22.7 | 30.1 | 104.4 |
코웨이는 최종 조립 및 검사 공정의 비중이 높아 제품 생산 과정에서의 수자원 사용량이 적은 편이며, 공업용수와 폐수를 배출하지 않고 있습니다. 코웨이는 물과 관련된 기업이나 타기업에 비해 물 사용 규모가 작고 사용되는 물도 생산과정에서 누수 확인 등의 테스트 용이 대부분입니다. 앞으로도 수자원에 미치는 환경 영향을 저감하기 위하여 물 사용 공정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종류별 용수 사용량을 엄격히 모니터링하며, 물 대신 질소와 진공을 이용하는 ‘워터리스’ 시스템을 통해 지속적으로 물 저감 노력을 이행해 나갈 예정입니다.
구분 | 단위 | 2018 | 2019 | 2020 | 2021 |
지하수 | 톤 | 21,962 | 29,904 | 16,777 | 24,653 |
상수도 | 49,385 | 60,519 | 64,751 | 66,953 | |
수자원 사용 총량 | 71,347 | 90,423 | 81,528 | 91,606 | |
사용후 물 배출량 | 71,347 | 90,423 | 81,528 | 91,606 | |
수자원 사용 원단위 | 톤/억 원 | 2.987 | 3.573 | 3.145 | 3.255 |
구분 | 단위 | 2018 | 2019 | 2020 | 20212) |
서울사무소(G타워)1) | 톤 | - | - | - | 7,373 |
유구공장 | 34,501 | 44,357 | 30,420 | 34,045 | |
인천공장 | 4,401 | 5,725 | 4,827 | 5,870 | |
포천공장 | 594 | 1,771 | 3,221 | 1,925 | |
환경기술연구소(R&D센터) | 26,045 | 33,183 | 32,748 | 34,755 | |
물류센터(유구) | 5,806 | 5,387 | 10,312 | 7,6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