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GRI 번호 | 지표명 | Contents |
조직프로필 | 102-1 | 조직명칭 | 코웨이 |
102-2 | 활동 및 대표 브랜드, 제품 및 서비스 | 제품소개 , 서비스 소개 | |
102-3 | 본사의 위치 |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26길 38 G-Tower 코웨이 15~20층 | |
102-4 | 사업 지역 | 국내/외 사업장 위치 | |
102-5 | 소유 구조 및 의결권 | 지배구조 - 소유구조 및 의결권 | |
102-6 | 시장 영역 | 사업영역 | |
102-7 | 조직의 규모 | 2021 사업보고서 , 사업 영역 | |
102-8 | 임직원 및 근로자에 대한 정보 | 임직원 - 다양성 - 임직원 데이터 | |
102-9 | 조직의 공급망 | 파트너 및 협력사 - 협력사 동반성장 , 공급망 ESG - 협력사 행동 규범 , 공급망 ESG - 공급망 ESG 평가 | |
102-10 | 조직 및 공급망의 중대한 변화 | 2020년 2월 최대주주가 넷마블(주)로 변경되었습니다. | |
102-11 | 사전예방 원칙 및 접근 | 코웨이는 사전예방 원칙을 지지합니다. | |
102-12 | 외부이니셔티브 | 정책 및 이니셔티브 | |
102-13 | 협회 멤버십 | 지역사회 공헌 - 공공정책 참여 | |
전략 | 102-14 | 최고 의사 결정권자 성명서 | CEO 메시지 |
102-15 | 주요 영향, 위기 그리고 기회 | 리스크 관리 | |
윤리성 및 청렴성 | 102-16 | 가치, 원칙, 표준, 행동강령 | 정도경영 - 정도경영 체계 |
102-17 | 윤리 관련 안내 및 고충처리 메커니즘 | 정도경영 - 윤리진단 및 모니터링 | |
지배구조 | 102-18 | 지배구조 | 지배구조 |
102-20 | 경제, 환경, 사회적 토픽에 대한 임원급의 책임 | 지속가능경영 체계 - ESG 위원회 , 지속가능경영 체계 - 중장기 ESG 목표 및 추진 전략 | |
102-21 | 이해관계자와 경제, 환경, 사회적 토픽 협의 | 지속가능경영 체계 - ESG 중점 추진 과제 | |
102-22 | 최고의사결정기구와 산하 위원회의 구성 | 지배구조 - 이사회 산하 위원회 | |
102-23 | 최고의사결정기구의 의장 | 지배구조 - 이사회 중심의 책임경영 - 이사회 구성 현황 | |
102-24 | 최고의사결정기구 추천 및 선정 | 지배구조 - 독립성 · 전문성 · 다양성 | |
102-25 | 이해관계 상충 | 지배구조 - 독립성 · 전문성 · 다양성 | |
102-27 | 최고의사결정기구의 전문성 | 지배구조 - 독립성 · 전문성 · 다양성 | |
102-30 | 최고의사결정기구의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 효과 | 리스크 관리 - 리스크 관리 체계 | |
102-31 | 최고의사결정기구의 경제, 환경 및 사회 주제 검토 | 지속가능경영 체계 - ESG 위원회 , 지속가능경영 체계 - 중장기 ESG 목표 및 추진 전략 | |
102-32 | 지속가능성 보고에 대한 최고의사결정기구의 역할 | 지속가능경영 체계 - ESG 위원회 | |
102-35 | 보상정책 | 지배구조 - 성과평가와 보수 지급 | |
이해관계자 참여 | 102-40 | 조직과 관련 있는 이해관계자 집단 리스트 | 이해관계자 참여 및 중요 주제 - 이해관계자 참여 |
102-41 | 단체협약 | 임직원 - 건전한 노사관행 | |
102-42 | 이해관계자 파악 및 선정 | 이해관계자 참여 및 중요 주제 - 이해관계자 참여 | |
102-43 | 이해관계자 참여 방식 | 이해관계자 참여 및 중요 주제 - 이해관계자 참여 , 이해관계자 참여 및 중요 주제 - 중요성 평가 | |
102-44 | 이해관계자 참여를 통해 제기된 핵심 주제와 관심사 | 이해관계자 참여 및 중요 주제 - 중요성 평가 , 이해관계자 참여 및 중요 주제 - 중대성 맥락과 추진 성과 | |
보고서 관행 | 102-45 | 조직의 연결 재무제표에 포함된 자회사 및 합작회사의 리스트 | 2021 사업보고서 - Ⅰ. 회사의 개요 - 1. 회사의 개요 |
102-46 | 보고 내용 및 토픽의 경계 정의 | 보고 범위 및 검증 | |
102-47 | Material Topic 리스트 | 이해관계자 참여 및 중요 주제 - 중요성 평가 | |
102-48 | 정보의 재기술 | 중요한 변동이 있을 경우 해당 정보의 주석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
102-49 | 보고의 변화 | 보고 정책의 특별한 변화가 없습니다. | |
102-50 | 보고 기간 | 2021.01.01 ~ 2021.12.31 | |
102-51 | 가장 최근 보고일자 | 코웨이 2021 지속가능보고서(2021.07) | |
102-52 | 보고 주기 | 1년 | |
102-53 | 보고서에 대한 문의처 | sustainability@coway.co.kr | |
102-54 | GRI Contents에 따른 보고 방식 | GRI Standard Core Option | |
102-55 | GRI Index | 현재 페이지 | |
102-56 | 외부검증 | 보고 범위 및 검증 - 제3자 검증의견서 | |
경영 접근법 | 103-1 | Material Topic과 그 경계에 대한 설명 | 이해관계자 참여 및 중요 주제 - 중대성 맥락과 추진 성과 |
103-2 | 경영 접근법과 그 구성 요소 | GRI Table의 각 중요주제별 MA란에 별도 표기하였습니다. | |
103-3 | 경영 방식 평가 | GRI Table의 각 중요주제별 MA란에 별도 표기하였습니다. |
구분 | GRI 번호 | 지표명 | Contents |
경제성과 | MA | 경제성과 경영접근방식 | 가치창출 스토리 |
201-1 | 직접적인 경제적 가치의 창출과 배분 | 가치창출 스토리 - 비즈니스 밸류체인 , 가치창출 스토리 - 경제적 가치 창출 , 가치창출 스토리 - 경제적 가치 분배 | |
201-2 | 기후변화의 재무적 영향과 사업활동에 대한 위험과 기회 | 기후변화 대응 - 기후변화의 위험과 기회 | |
201-3 | 조직의 확정급여형 연금제도 채무 충당 | 보고하지 않음 | |
201-4 | 정부 지원 보조금 수혜 실적 | 보고하지 않음 | |
시장 진출 현황 | 202-1 | 사업장의 현지 법정최저임금 대비 신입사원 임금 비율 | 지배구조 - 성과평가와 보수 지급 |
202-2 | 주요 사업장의 현지 출신 고위 관리자 비율 | 임직원 - 다양성 - 임직원 데이터 | |
간접적 경제 효과 | 203-1 | 공익을 위한 인프라 투자 및 서비스 지원 활동 | 지역사회 공헌 - 코웨이다운 사회공헌 , 지역사회 공헌 - 깨끗한 물과 공기를 위한 약속 |
203-2 | 중요한 간접적 경제 파급효과 및 영향 | 가치창출 스토리 | |
반부패 | 205-1 | 사업장 부패 위험 평가 | 정도경영 - 윤리진단 및 모니터링 - 윤리 현황 진단 및 모니터링 |
205-2 | 반부패 정책 및 절차에 관한 공지와 훈련 | 정도경영 - 윤리교육 | |
205-3 | 확인된 부패 사례와 이에 대한 조치 | 정도경영 - 윤리진단 및 모니터링 | |
경쟁 저해 행위 | 206-1 | 경쟁저해행위, 독과점 등 불공정한 거래행위에 대한 법적 조치 | 독과점 등 불공정 거래 행위로 인한 적발사례가 없습니다. |
조세 | 207-1 | 조세에 대한 경영접근 | 가치창출 스토리 - 조세 정책 |
207-2 | 세금에 대한 거버넌스, 통제 및 리스크 | 가치창출 스토리 - 조세 정책 | |
207-3 | 세금과 관련된 이해관계자의 참여와 경영 | 이해관계자 참여 및 중요 주제 - 이해관계자 참여 |
구분 | GRI 번호 | 지표명 | Contents |
원재료 | 301-1 | 사용된 원료의 중량과 부피 | 자원순환과 자연보호 - 자원 - 자원 절감 노력 |
301-2 | 사용된 원료 중 재생 원료의 투입 | 자원순환과 자연보호 - 자원 - 자원 절감 노력 , 제품 전과정 환경영향 저감 - 전과정 환경영향을 고려한 제품 설계 | |
301-3 | 제품 및 포장재 재생 원료 | 자원순환과 자연보호 - 자원 - 자원 절감 노력 , 제품 전과정 환경영향 저감 - 전과정 환경영향을 고려한 제품 설계 | |
에너지 | MA | 에너지 경영 접근 | 에너지와 물 - 에너지 효율성 , 기후변화 대응 - 기후변화의 위험과 기회 |
302-1 | 조직 내부 에너지 소비 | 에너지와 물 - 에너지 효율성 | |
302-2 | 조직 외부 에너지 소비 | 에너지와 물 - 에너지 효율성 , 기후변화 대응 -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 | |
302-3 | 에너지 집약도 | 에너지와 물 - 에너지 효율성 | |
302-4 | 에너지 소비 절감 | 제품 전과정 환경영향 저감 - 사용단계의 자원 효율성 , 에너지와 물 - 에너지 효율성 - 신재생에너지 전환 | |
302-5 | 제품 및 서비스의 에너지 요구량 감축 | 에너지와 물 - 에너지 효율성 | |
용수 및 폐수 | 303-1 | 공유 자원으로서의 수자원 관리 | 에너지와 물 - 물 효율성 |
303-2 | 배수 관련 영향 관리 | 에너지와 물 - 물 효율성 | |
303-3 | 용수 취수 | 에너지와 물 - 물 효율성 | |
303-4 | 용수 배출 | 에너지와 물 - 물 효율성 | |
303-5 | 용수 사용량 | 에너지와 물 - 물 효율성 - 물 사용량 | |
배출 | 305-1 | 직접 온실가스 배출량(Scope 1) | 기후변화 대응 -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 - 온실가스 배출량 및 중장기 목표 |
305-2 | 간접 온실가스 배출량(Scope 2) | 기후변화 대응 -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 - 온실가스 배출량 및 중장기 목표 | |
305-3 | 기타 간접 온실가스 배출량(Scope 3) | 기후변화 대응 -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 - 온실가스 배출량 및 중장기 목표 | |
305-4 | 온실가스 배출 집약도 | 기후변화 대응 -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 - 온실가스 배출량 및 중장기 목표 | |
305-5 | 온실가스 배출 감축 | 기후변화 대응 -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 | |
305-6 | 오존층 파괴 물질의 배출 | N/A | |
305-7 |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그리고 다른 주요 대기 배출물 | 코웨이의 모든 사업장은 대기배출시설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등의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습니다. | |
폐기물 | MA | 폐기물 경영 접근 | 제품 전과정 환경영향 저감 - 전과정 환경영향을 고려한 제품 설계 , 자원순환과 자연보호 - 폐기물 및 재활용 , 환경경영 - 환경경영 정책 |
306-1 | 폐기물 발생 및 주요 폐기물 관련 영향 | 자원순환과 자연보호 - 폐기물 및 재활용 | |
306-2 | 주요 폐기물 관련 영향 관리 | 에너지와 물 - 에너지 효율성 -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노력 , 에너지와 물 - 물 효율성 - 물 저감 노력 , 자원순환과 자연보호 - 자원 | |
306-3 | 폐기물 발생량 및 종류 | 자원순환과 자연보호 - 폐기물 및 재활용 -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프로세스 | |
306-4 | 폐기물 전환(재사용, 재활용 등) | 제품 전과정 환경영향 저감 - 전과정 환경영향을 고려한 제품 설계 , 자원순환과 자연보호 - 폐기물 및 재활용 -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프로세스 , 제품 전과정 환경영향 저감 - 사용 후 회수 및 자원순환 | |
306-5 | 폐기물 처리방법(소각, 매립 등) | 제품 전과정 환경영향 저감 - 사용 후 회수 및 자원순환 , 자원순환과 자연보호 - 폐기물 및 재활용 -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프로세스 | |
환경법규 준수 | 307-1 | 환경법규 위반 | 보고 기간 중 환경법규 위반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
공급업체 환경평가 | 308-1 | 환경 기준 심사를 거친 신규 공급업체 비율 | 신규 공급업체 선정 시 환경경영 방침&전략, 환경/유해물질 내부감사시스템, 유해물질 관리(입고-공정-출하) 관리, 환경/유해물질 정보공유 및 교육훈련 심사 기준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공급망 ESG - 공급망 ESG 평가 |
308-2 | 공급망 내 실질적이거나 잠재적으로 중대한 부정적 환경영향 및 이에 대한 조치 | 신규 공급업체 선정 시 환경경영 방침&전략, 환경/유해물질 내부감사시스템, 유해물질 관리(입고-공정-출하) 관리, 환경/유해물질 정보공유 및 교육훈련 심사 기준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공급망 ESG - 공급망 ESG 평가 |
구분 | GRI 번호 | 지표명 | Contents |
고용 | 401-1 | 신규채용과 이직 | 임직원 - 다양성 - 임직원 데이터 |
401-2 | 비정규 직원 혹은 파트타임 직원에게는 제공되지 않는 정규직 직원 대상의 보상 | 코웨이 채용사이트 - 복지제도 , 임직원 - 기업문화 , 안전 및 보건 - 질병 예방 및 건강 관리 - 임직원 건강 보건 | |
401-3 | 육아휴직 | 임직원 - 기업문화 - 가족친화 제도 | |
노사관계 | 402-1 | 운영상의 변화와 관련한 최소 공지기간 | 임직원 - 건전한 노사관행 |
산업안전보건 | 403-1 | 산업안전보건 관리 시스템 | 안전 및 보건 - 안전보건경영 체계 |
403-2 | 위험 식별, 리스크 평가, 사고 조사 | 안전 및 보건 - 안전보건경영 체계 - 안전보건 관리조직 | |
403-5 | 직업 건강 및 안전에 대한 근로자 교육 | 안전 및 보건 - 안전보건 활동 - 안전보건 교육 | |
403-6 | 근로자 건강 증진 | 안전 및 보건 - 질병 예방 및 건강 관리 - 임직원 건강 보건 | |
403-7 | 사업 관계에 의해 직접적으로 연결된 산업안전보건 영향의 예방 및 완화 | 안전 및 보건 - 안전보건 활동 | |
403-8 | 산업보건 및 안전관리 시스템이 적용되는 근로자 범위 | 코웨이는 전 임직원과 협력사를 포함한 모든 구성원에게 재해 발생 위험 없는 안전한 근로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사업장 안전 관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 |
403-9 | 업무 관련 상해 | 안전 및 보건 - 안전보건 활동 - 중대재해 방지 활동 | |
403-10 | 업무 관련 건강 | 안전 및 보건 - 질병 예방 및 건강 관리 | |
훈련 및 교육 | 404-1 | 임직원 1인당 평균 교육시간 | 임직원 - 임직원 역량강화 - 임직원 교육제도 |
404-2 | 임직원 역량 강화 및 전환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 임직원 - 임직원 역량강화 , 임직원 - 성과 평가 프로세스 | |
404-3 | 정기적 성과 및 경력 개발 리뷰를 받은 임직원 비율 | N/A | |
다양성과 기회균등 | 405-1 | 거버넌스 기구 및 임직원 다양성 | 임직원 - 다양성 - 임직원 데이터 |
405-2 | 남성 대비 여성의 기본급 및 보상 비율 | 임직원 - 성과 평가 프로세스 | |
차별금지 | 406-1 | 차별 사건 및 이에 대한 시정조치 | 인권 - 인권 리스크 식별 및 완화 |
결사 및 단체교섭의 자유 | 407-1 | 근로자의 결사 및 단체 교섭의 자유가 심각하게 침해될 소지가 있다고 판단된 사업장 및 협력회사 | 보고하지 않음 |
아동노동 | 408-1 | 아동노동 발생 위험이 높은 사업장 및 협력회사 | 공급망 ESG - 공급망 ESG 평가 |
강제노동 | 409-1 | 강제노동 발생 위험이 높은 사업장 및 협력회사 | 공급망 ESG - 공급망 ESG 평가 |
보안관행 | 410-1 | 인권 관련 정책 및 절차에 관한 훈련을 받은 보안 인력의 비율 | N/A |
원주민 권리 | 411-1 | 원주민의 권리 침해사고 건수와 취해진 조치 | 보고기간 내 심각하거나 주의가 필요한 원주민 권리 침해 사고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인권평가 | 412-1 | 인권 영향평가 혹은 인권 검토 대상 사업장 | 인권 - 인권 리스크 식별 및 완화 - 리스크 식별 |
412-2 | 사업과 관련된 인권 정책 및 절차에 관한 임직원 교육 | 인권 - 인권 리스크 식별 및 완화 - 인권경영 내재화 교육 | |
412-3 | 인권 조항 또는 인권 심사 시행을 포함한 주요 투자 협약과 계약 | N/A | |
지역사회 | 413-1 | 지역사회 참여, 영향 평가 그리고 발전프로그램 운영 비율 | 지역사회 공헌 - 코웨이다운 사회공헌 |
413-2 | 지역사회에 중대한 실질적/잠재적인 부정적 영향이 존재하는 사업장 | 보고기간 중 심각하거나 주의가 필요한 부정적 영향이 존재하는 사업장이 없습니다. | |
공급망 관리 | 414-1 | 사회적 영향평가를 통해 스크리닝된 신규 협력회사 | 신규 공급업체 선정 시 공정거래, 동반성장 계약 서면 관리, 노사관계, 환경 및 안전 법규 준수 등 ESG 관련 사항 등을 심사 기준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공급망 ESG - 공급망 ESG 평가 - 공급망 지속가능성 확보 |
414-2 | 공급망 내 주요한 부정적인 사회 영향과 이에 대한 시행 조치 | 신규 공급업체 선정 시 공정거래, 동반성장 계약 서면 관리, 노사관계, 환경 및 안전 법규 준수 등 ESG 관련 사항 등을 심사 기준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공급망 ESG - 공급망 ESG 평가 | |
공공정책 | 415-1 | 정치적 기부 | 지역사회 공헌 - 공공정책 참여 |
고객 안전보건 | MA | 고객 안전보건 경영 접근 | 제품 책임 - 품질경영시스템 , 고객만족경영 - 고객만족 활동 |
416-1 | 제품 및 서비스군의 안전보건 영향 평가 | 제품 책임 - 품질 및 안전관리 | |
416-2 | 제품 및 서비스의 안전보건 영향에 관한 규정 위반 사건 | 보고기간 중 제품 및 서비스 정보 라벨링에 관한 법률 및 자율규정 위반사실이 없습니다. | |
마케팅 및 라벨링 | 417-1 | 제품 및 서비스 정보와 라벨링 | 제품 책임 - 품질경영시스템 |
417-2 | 제품 및 서비스 정보와 라벨링에 관한 법률규정 및 자율규정을 위반한 사건 | 보고기간 중 제품 및 서비스 정보 라벨링에 관한 법률 및 자율규정 위반사실이 없습니다. | |
417-3 | 마케팅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규정 위반 | 보고기간 중 마케팅 커뮤니케이션과 관련한 규정 위반 사실이 없습니다. | |
고객정보보호 | 418-1 | 고객 개인정보보호 위반 및 고객정보 분실 사실이 입증된 불만 건수 | 개인정보보호 및 보안 - 정보보호 주요활동 및 실사 |
컴플라이언스 | 419-1 | 사회적, 경제적 영역의 법률 및 규제 위반 | 보고기간 중 중대하거나 주의가 필요한 사회적, 경제적 영역의 법률 및 규제 위반 사실이 없습니다. |